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금리 환승 방법까지 총정리

by 씨앗돈 2024. 1. 26.

목차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 원(최대) 월 40만 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후 1억 원을 다 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1억 만들기 통장"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정책금융상품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포스팅 관련 썸네일

     

    1. 가입대상 및 요건

    신생아특례대출 신청하기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신청하기
    신혼부부 매매대출 소득조건 알아보기

    가입 대상은 만 19세부터 만 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할 수 없고, 또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가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가입 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약 2년 반이며 2023년 6월 15일부터 시작되는 가입 기간 기준, 직전 과세기간은 2022년 1월~12월입니다. 단, 해당 기간 소득이 확정되는 시기가 가입 시작보다 늦으므로, 확정 이전에는 전전 연도(2021년 1월~12월)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또한, 1년을 주기로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와 규모가 조정됩니다.
    개인소득 요건
    총급여 종합소득 정부기여금 비과세
    6,000만원 이하 4,800만원 이하 O O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X X
    • 가구소득 요건의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기준 중위소득180% 이하여야 한다.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2024년 중위소득 180% 4,011,201 6,628,696 8,486,383 10,313,843 12,052,323 13,713,064

     

    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월 기여금 한도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1만원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
    소득 별로 매칭비율이 다른 이유는 소득이 적은 경우 납입 금액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적은 금액으로도 기여금을 더 많이 주기 위한 것입니다. 다만, 기여금 지급한도를 넘은 금액의 경우에는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중도해지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지 않으나,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인해 중도해지할 경우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모두 적용된다. 그 외의 일반중도해지의 경우 해지 후 2개월 경과 후 재가입이 가능하며, 기여금은 중도해지 전 가입기간에 따라 차감된다.

    관련 내용 이미지

    2. 적금 금리

    은행별 확정 금리 비교 공시는 다음과 같다. 우대금리 세부항목은 1. 급여이체, 2. 마케팅 동의, 3. 자동이체, 4. 카드실적, 5. 최초거래, 6. 주택청약, 7. 기타로 나뉘며, 자세한 사항은 위 링크에서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우대금리 합이 최대우대 금리가 넘더라도 최대 우대 금리까지만 적용됩니다.

     

    은행 기본금리 우대금리 소득 우대금리 최고금리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시중은행 농협 4.5% 1.0% 0.5% 6.0% +0.9%
    신한 +1.0%
    우리
    하나
    기업 0.6%
    국민 +1.25%
    지방은행 대구 4.0% 1.5% +1.0%
    부산
    경남 +1.2%
    광주 3.8% 1.7% +1.2%
    전북 +1.3%

     

    • SC제일은행은 2023년 출시에는 참여하지 않으며, 2024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소득 우대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관련 내용 첨부

    신생아특례대출 신청하기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신청하기
    신혼부부 매매대출 소득조건 알아보기

    효과

     

    총급여 기준 납입액 정부기여금 납입금액 이자 기여금 이자 총 수령액 혜택 금액 일반 적금 비교
    2,400만원 이하 4,200만원 144만원 640만원 16만원 5,000만원 800만원 8.86%
    3,600만원 이하 138만원 587만원 15만원 4,938만원 738만원 8.19%
    4,800만원 이하 132만원 14만원 4,931만원 731만원 8.12%
    6,000만원 이하 126만원 13만원 4,924만원 724만원 8.05%
    7,500만원 이하 - - 4,787만원 587만원 6.50%
    •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 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총급여 기준 월 납입액 총 납입액  정부기여금 납입금액 이자 기여금 이자 총 수령액  혜택 금액 일반 적금 비교
    2,400만원 이하 40만원 2,400만원 144만원 366만원 15만원 2,925만원 525만원 10.19%
    3,600만원 이하 50만원 3,000만원 138만원 419만원 15만원 3,572만원 572만원 8.87%
    4,800만원 이하 60만원 3,600만원 132만원 503만원 14만원 4,249만원 649만원 8.39%
    • 납부 가능 금액이 넉넉하다면 월 70만 원 가득 채워 납부하는 것도 좋지만, 그렇지 않거나 아니면 다른 상품에 투자할 돈이 필요한 경우, 혹은 최소 금액으로 최대 효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월 납입액에 맞춰 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세제 혜택이 없는 일반 적금으로 비교할 경우 최대 10.19%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관련 내용 이미지

    3.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고
    가입연령 19~34세  
    가입소득 3600만원 이하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미적용 중위소득 180% 이하  
    납입 금액 월 최대 50만원 월 최대 70만원 자유납입식
    만기 24개월 60개월  
    금리 9.31%~10.49% 8.05%~10.19%  
    정부지원금 2년 36만원
    (1년 18만원)
    5년 0~144만원
    (1년 최대 28.8만원)
     
    바과세 혜택 있음  
    담보대출 불가 가능  
    특별중도해약 불가 가능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도약계좌는 5년(60개월)이 지나야 만기해지가 가능합니다.
    2024년 2월 22일에 계좌를 개설하며 18개월치 월납일액을 일시납 하셨다면 만기일은 2029년 2월 22일이 됩니다.

    일시납입을 설정한 기간에는 청년도약계좌로 추가 이체를 할 수 없으며 일시납입 기간이 종료되는 월부터 월납입액을 추가 이체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청년도약계좌는 연 최대 840만 원이라는 납입한도가 있습니다.
    가입일로부터 2년간 납입액 합계가 1,680만 원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납입할 수 있어
    1,260만 원(70만 원 ×18개월)을 일시납 했다면, 2년 차에는 일시납 전환기간 종료 후 ㅚ대 420만 원만 추가로 납입 가능함

     

    1,260만 원 일시납입, 월 설정금액 70만 원 가정 시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5년차
    월시납일금
    1,260만원
    신규납일
    420만원
    신규납일
    840만원
    신규납일
    840만원
    신규납일
    840만원
    • 최초 일시납입, 18개월간 납입전환
    •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종료 이후(19개월 차), 본인 신규납입 허용(최대 월 70만 원)
    중요 맹점 중 하나

    가입기간이 얼마나 되느냐··· 얼론 보도에 따르면 1월 초에 발표 당시 돈을 일시납 후 19개월 차부터 납입하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18개월에 해당되는 돈(희망적금에서 만기 된)을 일시납으로 했을 때 과연 "기간을 줄여주느냐"가 맹점이었습니다.

    정답은?

    18개월치를 한꺼번에 넣어주는 것은 허용, 하지만 나머지 17개월을 기다렸다가 19개월 차부터 최대 월 70만 원씩 넣어서 만기 60개월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얘기합니다.

    해석을 하자면 결국 18개월짜리 예금을 넣어둔 셈 치고 19개월부터는 적금으로 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혜택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1,260만원(가입기간 18개월 인정)
    도약계좌 만기까지(42개월)
    매달 70만원 납입
    은행이자 694만원
    정부기여금 등 162만원
    비과세 혜택
    만기수령액 5,056만원 +859만원 수익 (일반 적금의 2배)

    신생아특례대출 신청하기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신청하기
    신혼부부 매매대출 소득조건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환승방법

    1.25~2.16 기간 내에 은행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1.25~2.2 기간에 가입신청 시, 2.22부터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능
    -2.5~2.16 기간에 가입신청 시 3.4부터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능
    ※"1.25~2.2" 기간에 가입신청자는 "2.5~2.16" 기간에 추가 가입신청 불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발송된 안내 문자에 따라 일시납 금액, 기간정보 입력
    -일시납입 금액 = 월설정금액[40, 50, 60, 70만 원 중 선택] × 전환기간[일시납입 개월수]
    ※안내기간 내 정보 미입력 시, 일시납입 불가한 청년도약계좌만 개설 가능
    은행 앱 등을 통해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처리
    가입요건 충족 문자 확인 후 '24.3.15. 까지 은행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개설 및 일시납입 금액 입금

     
    ■유의사항

    • 청년희망적금 연계자라도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은 5년으로 동일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은행이 동일할 필요는 없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개설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은 은행에서만 가능합니다.
    • 일시납입 설정 기간이 종료되기 추가로 적금을 납입할 수 없습니다.
    • 가입 후 2개년 동안 납입 가능한 총액은 1,680만 원입니다.
    • 일시납입 후엔 입금거래 정정(취소·변경 등)아 제한될 수 있습니다.

    클릭시 사이트 이동
    포스팅 관련 이미지

    신생아특례대출 신청하기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신청하기
    신혼부부 매매대출 소득조건 알아보기

    관련 내용 이미지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 연간 매출 3600억원 돌파가 가능했던 이유와 차별화 된 전략 총

    중장거리 전문 공사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에어프레미아 항공사가 연간 매출 3600억 원 돌파를 했다고 합니다. 특히 양대 국적 항공사 외에 대안이 없던 LA와 뉴욕 노선에서 22만 9300여 명을

    seedmoney24.seedmoney24.com

     

     

    임영웅 콘서트 일정 및 티켓팅 성공하는 방법 총정리

    가수 임영웅이 전국투어 대장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지난 19~21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 1 전시장 1홀에서 열린 전국투어 콘서트 I'M HERO(아임 히어로) 공연을 끝으로 전국투어 일정을 마쳤습니다

    seedmoney24.seedmoney24.com

     

    반응형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